이번 포스팅에서는
1. 2024년과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차이
2. 2025년 급여별 선정 기준
3.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과 향후 전망 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2024년과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차이
가장 큰 변화는 중위소득 자체가 크게 인상되었다는 점입니다.
특히, 2015년 맞춤형 급여 체계로 전환된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의 인상폭을 기록했습니다.
● 4인 가구 기준:
- 2024년: 5,729,913원
- 2025년: 6,097,773원 (6.42% 인상)
● 1인 가구 기준:
- 2024년: 2,228,445원
- 2025년: 2,392,013원 (7.34% 인상)
즉, 모든 가구 유형에서 중위소득이 상승했으며, 특히 1인 가구의 인상률이 더 높습니다.
2. 2025년도 급여별 선정기준
역대 최고 수준의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저소득층을 더욱 두텁게 지원하고자
2025년도 부터 급여별 선정기준이 변경 적용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 기준
기초생활보장 급여는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로 나뉘며, 각 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을 기준으로 선정됩니다. 2025년 급여별 선정 기준은 2024년과 동일합니다.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32%
의료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40%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48%
교육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50%
예를 들어, 2025년의 생계급여는 6,097,773원의 32%인 약 1,951,436원이 됩니다. 이러한 기준은 2024년과 동일하나, 중위소득의 상승으로 인해 실제 지급되는 금액은 증가할 것입니다.
생계급여의 경우 4인가구 기준으로 월12만원을 더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의료급여는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자 본인 부담 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합니다.
주거급여는 임차급여 기준 임대료를 2024년 대비 최대 2.4만원(7.8%)인상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급여는 2025년엔 교육활동 지원비, 2024년 대비 평균 5.0%인상하여 저소득층의 교육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합니다.
각 급여의 선정 기준은 중위소득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국민의 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 기준으로 업데이트 된 급여별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3.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과 향후 전망
중위소득의 인상 추세는 꾸준히 이어져 왔으며, 향후 몇 년간의 전망도 밝습니다. 2017년부터 2025년까지의 중위소득 추세를 살펴보면, 매년 일정 비율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7년 447만 원에서 시작하여 2025년에는 610만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인상은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가계 소득의 안정성을 높여줄 것입니다. 특히, 중위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생활이 어려운 가구에 대한 지원도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